[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
레지기가스
|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0486 레지기가스
|
거대 포켓몬
|
3.7m
|
420.0kg
|
3
|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무성
|
미발견
|
-
|
1,250,000
|
모습
|
|
모습
|
0486 레지기가스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레지기가스 |
110
|
160
|
110
|
80
|
110
|
100
|
670
|
레지기가스 |
|||||||
|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
|
0486 레지기가스 |
|
디아루가/펄기아/BDSP
|
밧줄로 묶은 대륙을 당겨서 움직였다고 하는 전설이 남아있다.
|
X
|
|
오메가루비
|
|
포켓몬 GO
|
|
기라티나
|
|
BW/BW2
|
|
Y
|
|
알파사파이어
|
|
HGSS
|
|
PLA
|
밧줄에 묶인 대륙을 끌어서 히스이 땅을 만들어 냈다는 전설이 있다.
의심스럽긴 하나 사실인 부분이 일부 존재할지도 모른다. |
|
전용기
|
레지기가스는 컨디션이 좋아지지 않는다![22]
특성 발동 문구
https://youtube.com/shorts/-50fXzUpOEE?feature=share
다이아몬드·펄
|
전설의 시작. 인플레가 현재보다 덜한 시절임에도 '슬로스타트'라는 기괴한 특성 하나로 등장하자마자 당당히 전설의 포켓몬 최약의 자리를 차지. 수많은 팬들의 놀림거리가 되었다.
|
성능과 반비례하는 고통스러운 입수 난이도로 도감작 최종보스로 군림하며 배포를 놓치거나 3세대 카트리지가 없던 유저들을 절망에 빠뜨렸다.
|
플라티나
|
어째서인지 레벨 1로 출현, 온갖 귀찮은 선행 과정을 요구하고 드디어 마주하는 전설의 포켓몬이 갑자기 레벨 1로 튀어나와 비웃음을 샀다.
|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
이 즈음 상영된 <후파 : 광륜의 초마신>에서 울음소리가 바뀌었다. 일명 기가기가훙훙(ギガギガフンフン).[63] 반응은 일본 시사회 때부터 후끈 달아올라 지금은 영화 메인 캐릭터 후파보다... 아니, 영화에 등장한 그 누구보다 더 화제가 되는 포켓몬. 일본에서는 후파 영화가 재방송할 때마다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 레지기가스가 진출한다. 사실상 후파 영화의 유일한 볼거리로 취급되는 중.
|
썬·문
|
상술한 Z기술 관련 버그가 밝혀지면서 '유일하게 전력을 낼 수 없는 포켓몬', '혼자 전력을 내지 않는 포켓몬'으로 불리며 7세대가 끝날 때까지 방치됐다.
|
울트라워프라이드에서는 히드런과 대칭이 됐다. 그야말로 자강두천.
|
소드·실드
|
복귀한 뒤 '화학변화가스'를 가진 또도가스와 함께 쓰인다. 가스를 들이마시면 컨디션이 좋아지고 또도가스가 5턴을 못 버티고 쓰러지면 다시 슬로스타트가 시작되는 꼴이 마치 약물중독자의 금단증세를 연상시켜 약에 시달리는 레지기가스 합성짤과 팬아트가 쏟아졌다.
|
새로운 피조물 레지드래고가 등장했는데 재료가 부족해서 머리만 만들었다는 설명 때문에 각종 개그성 2차 창작이 양산. 공식도 레지와로스를 의도하는게 아니냐는 말까지 나온다.
|
한편 드디어 방어와 잠자기를 배울 수 있게 됐는데, 다른 포켓몬들은 당연히 배울 수 있던 걸 이제야 배울 수 있다는 것도 웃기지만 일본에서는 4세대를 1턴으로 8세대까지 세면 5턴이 되므로, 마침내 8세대부터 슬로스타트가 풀렸다는 농담이 돌았다.
|
레전드 아르세우스
|
본 게임에서는 특성이 없는데도 슬로스타트는 적용된다. 나쁜 의미로 특별대우를 받고 있다.
|
스칼렛•바이올렛
|
4세대 전설의 포켓몬 중 혼자만 제외됐다. 심지어 레지에레키와 레지드래고도 본작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나쁜 대우의 정점. 성능과는 별개로 슬로스타트를 숨겨진 특성으로 가진 부르롱이란 신규 일반 포켓몬이 등장했지만 미진화체이기 때문에 의미없는 부분에 가깝다.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