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한로(寒露)의 뜻, 한로에 먹는 음식,한로관련 속담,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4절기]한로(寒露)의 뜻, 한로에 먹는 음식,한로관련 속담,

기타

by 확실해? 2020. 9. 22. 20:52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한로의뜻과 유래

 

24절기 가운데 17번째 절기로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뜻의 절기

한로는 양력 10월 8~9일 무렵 입기일이며, 태양이 황경 195도의 위치에 올때이다.

음력으로는 9월의 절기로서 공기가 차츰 선선해짐에따라 이슬(한로)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이다.

 

 

한로에 먹는 음식

예로부터 한로와 상강 무렵에 서민들은 시식으로 추어탕을 즐겼다고한다. 

본초강목에는 미꾸라지가 양기를 돋우는데 좋다고하였다.

가을에 누렇게 살찌는 가을고기라하여 미꾸라지를 추어라 한듯하다.

 

 

 

 

한로관련 속담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

가을곡식은 찬이슬에 영근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한로

 

중국사람들은 한로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로 나누어 초후에는 기러기초대를 받은 듯여들고,중후에는 참새가 줄고 조개가나오며, 말후에는 국화가 노랗게 핀다고 하였다.

고려사 한로관련 기록을 보면 한로는 9월의 절기이다. 괘는 태,구삼이다. 초후에 기러기가 와서 머문다. 차후에는 참새가 큰물에 들어가 조개가 된다. 말후에는 국화꽃이 누렇게 핀다. 라고하여 중국의 기록과 비슷하다.

 

한로 즈음은 찬이슬이 맺힐 시기여서 기온이 더 내려가기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은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때이다. 한편, 여름철의 꽃보다 아름다운 가을단풍이 짙어지고, 제비같은 여름새와 기러기같은 겨울새가 교채되는 시기이다.

 

한로는 중앙절과 비슷한 시기에 드는 때가 많으므로 중앙절 풍속인 머리에 수유를 꽂거나 높은데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든지 하는 내용이 한시에 자주 나타난다. 높은 산에 올라가 머리에 수유를 꽂으면 잡귀를 쫒을 수 있다고 믿는다. 이는 수유열매가 붉은 자줏빛인데 붉은색은 양색으로 벽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한로와 상강 무렵에 서민들은 시식으로 추어탕을 즐겼다. 

 

 

한로의 의의

 

전통 농경사회에서 자연현상에 의한 기후변화는 매년 농사에 매우 중요했으며 정확해야했다. 그래서 태양력을 이용한 이른바 24절기가 활용되었다. 음력이 윤달을 두어서 한달씩 날짜가 밀릴 수 있다는 점에 비해 24절기는 계절의 추이를 정확히 알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농민으로서 이것을 아는것을 '철을 안다'고 했고, '철을 안다'든가 '철이 났다.'든가 하는 말은 소년이 성인이 되고,또한 성숙한 농군이 됐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24절기를 많이 사용하였던 우리의 재래역법은 순수한 음력이 아니라 이른바 태음태양력이다. 한로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상강과 함께 가을 절기에 해당되며 세시명절이라기보다는 다만 기후의 변화를 읽는 절기로 유명했다.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