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강의 뜻과 유래
음력9월에 드는 24절기의 하나 말 그대로 서리가 내리는 시기를 뜻하는 절기
상강에 먹는 음식
상강에는 늦가을에 제격인 국화를 써서 국화전이나 국화주를 만들어 마시며 나들이 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담금주키트 국화 500ml 국화주만들기 숙성주 화주 꽃
COUPANG
www.coupang.com
국화차 (감국) 300g 꽃차 국화꽃
COUPANG
www.coupang.com
상강 관련 속담
한해 김치 맛은 상강에 달려있다.
한국민족대백과사전의 상강
상강은 한로와 입동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이 210도에 이를때로 양력으로 10월23일 무렵이 된다. 이 시기는 가을의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는 대신에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는 때이다. 따라서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서 서리가 내리며 온도가 더 낮아지면 첫 얼음이 얼기도 한다.
이때는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국화도 활짝피는 늦가을의 계절이다. 중구일과 같이 국화주를 마시며 가을 나들이를 하는 이유도 이런 계절적 사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상강에 국가의례인 둑제를 행하기도 했다. 특히 농사력으로는 이 시기에 추수가 마무리 되는 때이기에 겨울맞이를 시작해야 한다. 권문해의 초간선생문집을 보면 상강에 대한 기록이 자세하다.
한밤중에 된서리가 팔방에 두루내리니 숙연히 천지가 한번 깨끗해지네 바라보는 가운데 점점 산모양이 피리해 보이고 구름끝에 처음 놀란 기러기가 나란히 가로질러 가네 시냇가의 쇠잔한 버들은 잎에 병이 들어 시드는데 울타리 아래에 이슬이 내려 찬 꽃부리가 빛나네 도리어 근심이 되는 것은 노포가 가을이 다 가면, 때로 서풍을 향하ㅐ 깨진 술잔을 씻는 것이라네
중국에서는 상강부터 입동사이를 5일씩 삼후로 나누어 자연의 현상을 설명하였다. 이를테면 초후는 승냥이가 산짐승을 잡는 때, 중후는 초목이 누렇게 떨어지는 때, 말후는 겨울잠을 자는 벌레들이 모두 땅속에 숨는 때라고 한다. 김형수의 농가십이월속시에도 한로와 상강에 해당하는 절기의 모습을 초목은 잎이 지고 국화향기 퍼지며 승냥이는 제사하고 동면할 벌레는 굽히니 라고 표현한것을 보아 중국의 기록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화상품권 사용처알아보도록해요! 문화상품권 (0) | 2020.10.02 |
---|---|
재직증명, 재직증명서발급, 재직증명서 인터넷발급, 재직증명무료발급하기, 재직증명서양식, (0) | 2020.09.26 |
24절기]소설(小雪)의 뜻, 소설에 먹는 음식, 소설 관련 속담, (0) | 2020.09.23 |
24절기]입동(立冬)의 뜻, 입동에 먹는 음식, 입동 관련 속담, (0) | 2020.09.23 |
24절기]한로(寒露)의 뜻, 한로에 먹는 음식,한로관련 속담, (0) | 2020.09.22 |
댓글 영역